안녕하세요 stimpack 입니다.!    


오늘은 포인터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포인터를 배우기전 우리는 자료형과 변수를 선언함으로써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읽었습니다.! 


사용한 변수들은 컴파일을 통해 메모리 주소로 바뀌어서 사용되었습니다.


이렇게 주소를 저장하는 방식을 직접 주소 지정 방식이라고 합니다.!


사용자가 직접 변수를 선언함으로써 컴파일러에게 주소를 기억해! 라고 명령하는 것과 같습니다.


직접주소를 지정하는 방식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메모리주소는 임의 주소입니다)

위에 소스를 보시면 빌드시 실패한 것을 알수 있습니다.  


error를 보시면 'pack': 선언되지 않은 식별자 입니다. 라고 나옵니다. 이것은 main함수에서만 선언되고 stimpack 함수에서는 선언되지 않았기에 


컴파일러가 main함수를 시작으로 stimpack 함수의 호출로 인해 컴파일시 pack라는 변수가 stimpack 함수안에서 선언되지 않았기에 에러를 


표출하게 됩니다.


즉 pack 변수는 main에서 선언된 지역변수이기 때문에 c언어 문법적으로 다른 지역간에 호출은 불가합니다.! '



물론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함수를 호출한다면 main함수에서 선언한 pack변수를 사용하여 값을 변경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pack를 다시 초기화하려고 하면 지역변수이기 때문에 안됍니다..



이때 직접 주소 지정방식에 한계를 느끼게 됩니다 .! 


그래서 사용할수 있는 간접 주소 지정 방식 포인터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포인터란



예를 들어 우리는 목욕탕을 갔습니다. 주인은 38번 사물함 열쇠를 주고 우리는 38번열쇠를 보고 38번 사물함으로 이동합니다.


즉 여기서 포인터의 역할은 38번 열쇠와 같습니다.! 


우리가 직접적으로 38번 사물함을 가는 것은 좀전에 설명한 직접 주소 방식 (일반 변수) 와 같습니다. 


하지만 C언어 문법상 우리는 다른 함수에서 선언된 변수는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간접적으로 사물함의 열쇠를 가지고 접근한다면 다른 함수내에서도 사용할수가 있게 됩니다.! 



이렇게 포인터를 사용하여 main함수에 있는 지역변수 pack를 stimpack 함수에서 값을 변경할수 있게 되었습니다.! 



메모리상 보시면 포인터 변수는 pack의 주소를 가르키기 때문에 stimpack 변수에서 포인터를 이용하여 값을 변경할수가 있게됩니다. 


(여기서 포인터 변수의 크기가 4byte 인 이유는 32bits 운영체제에서 사용하는 주소의 크기는 4byte 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가르키는 대상의 주소를 


저장하려면 4byte로 할당됩니다. )


포인터 문법은 


가르키는 대상의 자료형 * 포인터변수이름 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ex short *ptr ;) 


예를 들어 


int stim =10 ;


int *ptr ;


ptr = &stim ; ( & 이 연산자는 해당 변수의 주소값을 나타내는 연산자 입니다. 즉 ptr 포인터 변수에 시작주소를 저장하겠다)


(이렇게 사용하고  위에 두줄은 int *ptr = &stim;  이렇게 줄여서 사용할수도 있습니다. )


여기서 포인터 변수는 두가지의 의미를 가질수 있습니다.


*ptr   ptr  


*ptr은 가르키는 대상의 값을 뜻합니다. 


ptr은 가르키는 대상의 변수의 값을 (시작주소) 바꾸겠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위에 ptr = &stim; 이라고 사용한게 시작주소를 stim의 주소로 저장한다는 뜻 입니다.





여기서 ptr = &stim 즉 ptr변수가 가르키는 시작주소는 stim의 주소 (0x0010001)을 포인터 변수에 저장한다는 뜻입니다.


*ptr은 가르키는 대상 즉 stim의 값을 변경한다는 뜻입니다. 



이렇게 포인터 변수를 이용하여 주소값을 바꿀수도 있고 가르키는 대상의 값도 바꿀수있습니다.!





  안녕하세요 stimpack 입니다.!    


오늘은 배열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stimpack 입니다.!    


오늘은 연산자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는 어릴적 부터 연산자에 대해 많이 접했습니다.! 


(덧셈, 뺄셈 ,나눗셈 , 곱셈 ...등등.) 


기억나시나요!?  = <- 이것을 말입니다!. 이 부호는 같다라는 뜻도 있지만 대입한다는 뜻도 있습니다. 


이처럼 동음이의어 (소리는 같지만 뜻이 다른 낱말입니다) . 예를들어 배도 사람의 배도있고 바다에서 타고다니는 배도 있고,

 

과일 배도 있습니다..!! 이처럼 우리는 상황에 따라서 낱말의 뜻을 이해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컴퓨터는 상황을 판단할수 없어서 


명확한 한개에 의미만 인식시켜야 합니다.! 그래서 자주~ 사용하는 뜻으로 약속하기로 합니다.! 


우선 1. 대입 연산자.! 


* c언어에서는 = 기호를 변수에 상수값 또는 다른 변수 값을 대입할 때 사용합니다. ! 


그럼 같다는 어떻게 표현할까요!? == 이렇게 두개를 사용함으로써 표현합니다.! (관계연산자로써 이따 다시 애기하겠습니다) 


2. 산술 연산자!


+ : 더하기 연산자

-  : 뺄셈 연산자

*  : 곱하기 연산자

/  : 나눗셈 연산하고 몫을 구하는 연산자

% : 나눗셈 연산하고 나머지를 구하는 연산자


3. 증감 연산자  

++ : 증가 연산자

--   : 감소 연산자 


이처럼 한개에 메모리가 연산에 사용된 연산을 단항 연산자라고 합니다! 


만약 int stim +2 ; 라고 했다면 두개의 메모리를 사용함으로 이항 연산자라고 합니다! 


4. 관계 연산자


두 수치의 값의 관계를 비교하여 그 결과 값을 진릿값 ( 참1 , 거짓0)으로 표현하는 연산자 



쉽게 왼쪽을 기준으로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5. 논리 연산자


A와 B를 일정한 규칙 (논리곱 AND &&   , 논리합 OR || , 논리부정 NOT !) 으로 연결해 주는 연산자 이며,


 진릿값(참 0이아닌값 , 거짓0)


쉽게 논리곱은 하나라도 거짓이면 거짓이고 , 


논리합은 둘다 거짓이어야 거짓이고 , 하나라도 참이면 참입니다.


논리부정은 A가 거짓이면 참 , 진실이면 거짓입니다.! 반대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stimpack 입니다.!    


오늘은 표준입출력 함수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표준 출력 함수 


우선 표준 출력 함수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우선 맨위에 보이는 #include <stdio.h> 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include 란 전처리기라고 합니다! 


컴파일 하기전에 컴파일러에게 직접적으로 명령하는 것 입니다. 


include란 포함하다는 뜻으로 옆에 <stdio.h>을 포함해서 컴파일 하라는 뜻입니다. 


여기서 <stdio.h>란 Standard Input Output Header  표준 입출력 함수란 뜻 입니다.


이로써 우리는 printf, putchar, putc, puts 등 입출력 함수를 사용할수 있게 됩니다.! 


문득 보면 이런 입출력함수가 c언어 문법 같지만 사실은 함수로 만든것 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따로 내용을 만들겠습니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putchar, putc 는 단일 문자 출력함수 입니다.!


이걸 기반으로 printf 함수를 만들었습니다!!


puts 는 문자열 출력함수 입니다. 이 함수를 사용하면 자동으로 줄바꿈이 일어납니다. 



예제로 한번 작성하였습니다. 


putchar는 단일 문자 출력 함수로써 제가 문자 'A'를 입력하여 A를 호출하였고 


제가 65를 적어서 컴파일러는 아스키코드로 대문자 A를 출력하였습니다. (아스키코드 A = 65) 


Hello~! stimpack이 줄바뀜 없이 바로 이어서 나왔습니다.


하지만 puts 와 자리를 바꿔서 입력하니 줄이 자동으로 바뀌어서 출력 된 것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만약 printf함수를 사용시 \n 라는 제어문을 사용하시면 줄바꿈을 사용하실수 있습니다. 


printf 함수를 사용할때 변수에 저장된 문자나 숫자를 출력할수 있습니다.! 출력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래머가 어떤 서식으로 출력할 것인지 결정해야 합니다!


 

이렇게 형식을 잘못 적으면 이상한 값이 나오게 됩니다! (이것은 약속이니 꼭 지켜주셔야 합니다!)





문약에 변수 2개이상에 내용을 출력하고 싶으시면 순차적으로 적으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stimpack 입니다.!    


오늘은 상수와 변수 , 그리고 함수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변수

변수란 무엇일까요 .!? 


변수란 쉽게 말해 데이터를 저장하는 그릇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즉 제가 물컵이라고 하면 물컵이 되고 밥 그릇이라고 하면 밥그릇입니다.! 


저장되는 데이터에따라 그 그릇의 역할은 바뀌겠죠!  즉 변할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가 int stimpack ; 라고 선언하고 밑에 stim이라고 적으면 비쥬얼스튜디오가 똑똑하게 제가 만든 변수를 알려줍니다.! 


즉 컴파일러에게 내가 사용할 자료형을 선언하고 (int) 제가사용할 그릇 ,즉 변수이름을 지어서 만들어주면 4byte 크기의 메모리가 생기게 되고 


하나의 그릇이기 때문에 우리는 이것을 알기위한 고유의 주소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변수이름을 지어줌으로 써 우리는 주소를 몰라도 되고, 컴파일러만 알


게 됩니다.


그러면 우리는 굳이 주소를 알지 못해도 변수 이름을 선언함으로써 위에 같이 그 이름만 적으면 우리는 언제든지 그 변수에 접근할수 있게 됩니다! 



제가 아까와 같은 예제에 int stimpack 라고 선언하고 , 변수 stimpack의 값을 5라고 정의하였습니다. 


밑에 메모리2라고 적힌 창에 0x001efcd0 이렇게 써있고 cc cc cc cc cc cc cc cc 적혀있습니다.


 0x001efcd0 이게 stimpack의 주소값 입니다!. 너무 길고 어렵네요...나중에 변수를 많이 선언 할수도 있는데 주소를 다 외운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겠죠! 


그래서 컴파일러와 약속을 합니다! 내가 변수를 만들면 컴파일러가 주소값을 알고있으라고요. 너무 기니깐..


이전에 자료형에 대해서 정리를 했는데 , 변수를 선언할때 자료형을 선언하고 변수 명을 적어주는 이유가 !! 


 *즉 int (4byte) 만큼의 크기를 가진 , stimpack(변수)를 만들어줘! (변수의 주소는 너가 알고있어!! (0x001efcd0 ) 



그러면 제가 만든 변수에 cc cc cc cc cc  (쓰레기값이라고 합니다 뭐가 들어있는지는 아무도 몰라용)  5라는 값이 정의 (초기화) 됬다고 합니다. 


05 00 00 00 지금 이렇게 빨간색으로 적힌게 제가 자료형의 크기를 int로 했기 때문에 4byte 만큼의 크기가 할당된 것 입니다.

 

**tip) 이것은 디버깅이라고 하는 함수의 오류가 있는지 없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메모리창은 꼭! 디버그상태(F5누르시면 디버그상태입니다.) 에서 디버그 -> 창 -> 메모리 (art + 6) 입니다. F10을 누르면 화살표가 이동하면서 한줄 한줄 컴파일하게 됩니다. 


주소: 에 반드시 &연산자를 꼭 사용하시고 변수명을 적으셔야 접근합니다.! .



*상수


상수(Constant)는 무엇 일까요.!?


상수는 변수와 다르게 변하지 않고 컴파일러와 내가 알고있는 고정된 정보입니다.


상수는 숫자형상수 , 문자형 상수 , 문자열 상수로 크게 3가지로 나누어 집니다.




*함수 


함수하면 가수 f(x) 님들이 생각나네요.. 죄송합니다  


함수란 쉽게 작은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위에 자판기가 있습니다. ! 저는 커피 물 사이다를 선택할수 있습니다. 


위 자판기를 함수로 표현하면 


음료수 사먹기 (자판기) 

{

돈을 넣는다.

음료수를 고른다.

음료수를 선택한다.

잔돈을 반환한다. 

음료수를 먹는다.  


}


함수명은 자판기!  자판기의 매개변수 인자가 돈이 되고 , 음료수가 결과값 (반환값)이 됩니다! 


(여기에서 함수명을 지어주어야 하는데 함수명을 잘 지어야  다른 프로그래머가 봐도 어떤 기능을 하는지 유추할수 있습니다.!)

이처럼 어떤 특정 기능을 만들기 위해서는 함수 이름이 필요하고 , 어떤 매개 변수를 사용할것인지 명시하고 , 그 다음 작업내용 그리고 그 결과를 


나타내는 결과 값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쉬운 예제로 SUM이라는 함수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여기서 함수는 main 과 SUM 입니다. 


우리가 어떤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을 만들때 중요한 것은 어디서 부터 시작될지가 중요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약속했습니다. 


* main 이라고 적은 함수가 시작함수라고 모두와 약속을 한 것입니다!.  

 

좀더 자세한 이해를 위해 디버깅을 하면서 메모리에 접근하여 알아 보겠습니다.


 디버깅을 하면서 어떻게 컴파일러가 함수를 읽는지 보겠습니다.


말했다싶이  main함수먼저 읽습니다.



제가 선언한 stimpack을 보니 아직 쓰레기 값이 들어있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제가 SUM함수를 호출하였기 때문에 main함수는 (caller 호출자)라고 합니다. 화살표처럼 SUM함수를 보고 컴파일러가 SUM 함수로 매개변수 5와 3을 순차적으로 대입합니다. SUM 함수는 main함수에 부름을 당했기 때문에 (callee 피호출자 )라고 합니다.


SUM함수의 연산을 끝낸 후 그 값을 int stimpack 메모리에 넣어줍니다. 그래서 메모리를 실제로 보면 컴파일러는 자료형이 int이기 때문에 4byte 크기에 stimpack 변수에 접근하여 쓰레기 값에서 연산한 8이라는 값을 초기화 해줍니다.!  



마지막으로 printf 표준입출력 함수를 통해 제가 원하는 문구와 결과가 출력됩니다.! 





시간날때 다시 정리 하겠습니다. 

  1. stash는 수정을 하는 도중에 애매하게 commit하기도 그렇고 급하게 다른 branch를 수정해야 할 때 사용한다 .
  2. $git -b exp (= $git branch exp -> $git checkout exp)exp branch를 만들고 내용을 수정한후 branch master로 이동했을때 이전 변경 한 f2.txt 파일이 그대로 master에 넘어온다. 

  1. git add를 하면 어떻게 되나 보았는데 똑같이 이동된다.
  1. $git stash  (어느공간에 저장하기) 명령어를 통해 저장을 한후 $git stash list 로 현재 저장된 것을 확인할수 있다.
  2. $git status로 확인시 현재 branch에는 아무것도 없다고 확인 할수 있다. 
  3. $git checkout master로 이동하여 확인해도 아무것도 없다고 뜬다.
  4. 다시 exp로 와서 $git stash apply 명령어로 저장되있던 파일을 다시 불러올수 있다. 이때 add했던것이 풀린것을 확인할수있다. 
  5. $git reset --hard를 통해 삭제후 다시 $git stash list를 확인하면 살아있음을 확인 할수 있다.
  1. $git stash apply - stash 다시 불러오기 $git stash drop - stash 삭제하기 $git stash apply; git stash drop;  - 불러오고 목록에서 삭제 =$git stash pop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2탄  (0) 2018.12.30
Git 1탄  (0) 2018.12.30

  1. $git log -p 를 하면 버전에서의 비교를 할수있다. 무엇이 수정되었는지 .

  1. $git reset 83775d.... 를 하게 되면 (버전의 주소값) 이하까지는 남기고 다 삭제하는 명령어.


  1. $git branch 현재 내가 branch master를 사용하고 있다. 
  2. $git branch (name) 으로 branch 생성 
  3. $git check out (name) 변경된 이름으로 전환시킨다. 
  4. $git log로 확인시 현재  log는 exp와 master가 같은 상태임을 알수 있다. 

  1. 비교를 위해 branch를 exp로 바꾼후 수정된 f1.txt를 commit 한후 log 확인 /master로 변경후 log비교시 exp 상태에서 commit한 파일이 master에서는 안보이는 것을 알수 있음.


  1. $git checkout master 로 변경후 log 확인한 다음에 $git log --branches --decorate (branche 차이)
  2. $git log --branches --decorate --graph 가지치기 보기 
  3. $git log --branches --decorate --graph --oneline 간결하게 보기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3탄  (0) 2018.12.30
Git 1탄  (0) 2018.12.30
천천히 자료 정리하겠습니다.~!

Git 사용법
  1. git 입력시 git 잘설치 된것을 확인 할수있다.(사용가능 명령어 확인 가능)
  2. $mkdir gitexample 프로젝트를 만들 폴더를 생성 



  1. $git init 버전관리할 디렉토리를 git에게 저장소를 알려주는 것 
  2. Initialized empty Git repository in /경로/ 저장소를 초기화 했다..git이 생성된것을 확인할수 있다.

  1. $vim f1.txt. 라는 파일을 만든다(souce :1 sample)저장함.(이제 이파일로 파일관리)
  2. $git status 현재 git의 상태를 알수 있다. f1.txt파일은 아직 stage area(commit대기상태)가 되지 않음을 확인

  1. $git add f1.txt (f1.txt 버전관리를 git에게 명령) 
  2. $git status를 하면 new file : f1.txt가 stage area ( commit전 상태)가 된것을 확인 할수있다.

  1. $git commit 하기전 유저의 이름과 메일을 등록해야한다. 다른사람에게 누가 수정하고 commit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2. $git config --global user.email "you@example.com"
  3. $ git config --global user.name "your Name"   이름과 이메일을 입력 (한번만 등록하면 됨)
  4. $git commit을 하면 상단에 버전의 간단한 메세지를 넣을수 있다.(어떻게 변경됬는지 ..)




  1. $git log 버전은 몇이고 누가 작성했고 언제 작성했는지  알수있다.

  1. f1.txt 파일을 수정하고 add하지않고 $git status로 현재 상태를 확인해보았다. modified(수정되었다)확인할수 있다.

  1. g2.txt를 만들고 현재 git의 상태를 확인하면 전에 add하지않은 f1.txt와 방금 생성한 f2.txt확인할수 있다.
  2. f2.txt만 add를 해보았다. f2.txt파일만 stage area가 된것을 확인할수 있다. 


17.git commit했을시 f2.txt만 commit되고 f1은 되지 않음을 확인 가능(여러개의 파일을 만들시 선택해서 commit할수있다)

  1. $git log -p 를 명령하면 그동안 변경된 사항을 알수있다. +는 추가된것 -는삭제된것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3탄  (0) 2018.12.30
Git.2탄  (0) 2018.12.30

+ Recent posts